mirror of
https://github.com/HackTricks-wiki/hacktricks.git
synced 2025-10-10 18:36:50 +00:00
207 lines
11 KiB
Markdown
207 lines
11 KiB
Markdown
# Parameter Pollution | JSON Injection
|
|
|
|
{{#include 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|
|
|
|
## HTTP Parameter Pollution (HPP) 개요
|
|
|
|
HTTP Parameter Pollution (HPP)는 공격자가 HTTP 매개변수를 조작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경하는 기술입니다. 이 조작은 HTTP 매개변수를 추가, 수정 또는 복제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. 이러한 조작의 효과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지만, 서버 측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상당히 변경할 수 있으며, 클라이언트 측에서 관찰 가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|
|
|
|
### HTTP Parameter Pollution (HPP) 예시
|
|
|
|
은행 애플리케이션 거래 URL:
|
|
|
|
- **원본 URL:** `https://www.victim.com/send/?from=accountA&to=accountB&amount=10000`
|
|
|
|
추가 `from` 매개변수를 삽입함으로써:
|
|
|
|
- **조작된 URL:** `https://www.victim.com/send/?from=accountA&to=accountB&amount=10000&from=accountC`
|
|
|
|
거래가 `accountA`가 아닌 `accountC`에 잘못 청구될 수 있으며, 이는 HPP가 거래 또는 비밀번호 재설정, 2FA 설정, API 키 요청과 같은 다른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.
|
|
|
|
#### **기술별 매개변수 파싱**
|
|
|
|
- 매개변수가 파싱되고 우선순위가 매겨지는 방식은 기본 웹 기술에 따라 다르며, HPP가 어떻게 악용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칩니다.
|
|
- [Wappalyzer](https://addons.mozilla.org/en-US/firefox/addon/wappalyzer/)와 같은 도구는 이러한 기술과 그 파싱 동작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|
|
|
|
### PHP와 HPP 악용
|
|
|
|
**OTP 조작 사례:**
|
|
|
|
- **맥락:** 일회용 비밀번호(OTP)를 요구하는 로그인 메커니즘이 악용되었습니다.
|
|
- **방법:** Burp Suit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OTP 요청을 가로채고, 공격자는 HTTP 요청에서 `email` 매개변수를 복제했습니다.
|
|
- **결과:** 초기 이메일을 위한 OTP가 조작된 요청에서 지정된 두 번째 이메일 주소로 전송되었습니다. 이 결함은 의도된 보안 조치를 우회하여 무단 접근을 허용했습니다.
|
|
|
|
이 시나리오는 OTP 생성을 위해 첫 번째 `email` 매개변수를 처리했지만, 전달을 위해 마지막 매개변수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에서의 중요한 간과를 강조합니다.
|
|
|
|
**API 키 조작 사례:**
|
|
|
|
- **시나리오:**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프로필 설정 페이지를 통해 API 키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.
|
|
- **공격 벡터:** 공격자는 POST 요청에 추가 `api_key` 매개변수를 추가함으로써 API 키 업데이트 기능의 결과를 조작할 수 있음을 발견합니다.
|
|
- **기술:** Burp Suit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공격자는 하나의 합법적인 `api_key` 매개변수와 하나의 악의적인 `api_key` 매개변수를 포함하는 요청을 작성합니다. 서버는 마지막 발생만 처리하여 공격자가 제공한 값으로 API 키를 업데이트합니다.
|
|
- **결과:** 공격자는 피해자의 API 기능을 제어하게 되어, 개인 데이터를 무단으로 접근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이 예시는 API 키 관리와 같은 중요한 기능에서 안전한 매개변수 처리가 필요함을 더욱 강조합니다.
|
|
|
|
### 매개변수 파싱: Flask vs. PHP
|
|
|
|
웹 기술이 중복 HTTP 매개변수를 처리하는 방식은 다르며, HPP 공격에 대한 취약성에 영향을 미칩니다:
|
|
|
|
- **Flask:** 쿼리 문자열 `a=1&a=2`에서 `a=1`과 같은 첫 번째 매개변수 값을 채택하며, 초기 인스턴스를 후속 중복보다 우선시합니다.
|
|
- **PHP (Apache HTTP Server에서):** 반대로, 마지막 매개변수 값을 우선시하여 주어진 예에서 `a=2`를 선택합니다. 이 동작은 공격자가 조작한 매개변수를 원본보다 우선시함으로써 HPP 악용을 우연히 촉진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## 기술별 매개변수 오염
|
|
|
|
결과는 [https://medium.com/@0xAwali/http-parameter-pollution-in-2024-32ec1b810f89](https://medium.com/@0xAwali/http-parameter-pollution-in-2024-32ec1b810f89)에서 가져왔습니다.
|
|
|
|
### PHP 8.3.11 및 Apache 2.4.62 <a href="#id-9523" id="id-9523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55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l_Pf2JNCYhmfAvfk7UTEbQ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l_Pf2JNCYhmfAvfk7UTEbQ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매개변수 이름 뒤의 %00을 무시합니다.
|
|
2. name\[]를 배열로 처리합니다.
|
|
3. \_GET은 GET 메서드를 의미하지 않습니다.
|
|
4. 마지막 매개변수를 선호합니다.
|
|
|
|
### Ruby 3.3.5 및 WEBrick 1.8.2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57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kKxtZ8qEmgTIMS81py5hhg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kKxtZ8qEmgTIMS81py5hhg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& 및 ; 구분자를 사용하여 매개변수를 분리합니다.
|
|
2. name\[]를 인식하지 않습니다.
|
|
3. 첫 번째 매개변수를 선호합니다.
|
|
|
|
### Spring MVC 6.0.23 및 Apache Tomcat 10.1.30 <a href="#dd68" id="dd68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58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llG22MF1gPTYZYFVCmCiVw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llG22MF1gPTYZYFVCmCiVw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POST RequestMapping == PostMapping & GET RequestMapping == GetMapping.
|
|
2. POST RequestMapping & PostMapping에서 name\[]를 인식합니다.
|
|
3. name과 name\[]가 모두 존재할 경우 name을 선호합니다.
|
|
4. 매개변수를 연결합니다. 예: first,last.
|
|
5. POST RequestMapping & PostMapping에서 Content-Type과 함께 쿼리 매개변수를 인식합니다.
|
|
|
|
### **NodeJS** 20.17.0 **및** Express 4.21.0 <a href="#id-6d72" id="id-6d72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59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JzNkLOSW7orcHXswtMHGMA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JzNkLOSW7orcHXswtMHGMA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name\[]를 인식합니다.
|
|
2. 매개변수를 연결합니다. 예: first,last.
|
|
|
|
### GO 1.22.7 <a href="#id-63dc" id="id-63dc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60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NVvN1N8sL4g_Gi796FzlZA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NVvN1N8sL4g_Gi796FzlZA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name\[]를 인식하지 않습니다.
|
|
2. 첫 번째 매개변수를 선호합니다.
|
|
|
|
### Python 3.12.6 및 Werkzeug 3.0.4 및 Flask 3.0.3 <a href="#b853" id="b853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61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Se5467PFFjIlmT3O7KNlWQ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Se5467PFFjIlmT3O7KNlWQ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name\[]를 인식하지 않습니다.
|
|
2. 첫 번째 매개변수를 선호합니다.
|
|
|
|
### Python 3.12.6 및 Django 4.2.15 <a href="#id-8079" id="id-8079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62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rf38VXut5YhAx0ZhUzgT8Q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rf38VXut5YhAx0ZhUzgT8Q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name\[]를 인식하지 않습니다.
|
|
2. 마지막 매개변수를 선호합니다.
|
|
|
|
### Python 3.12.6 및 Tornado 6.4.1 <a href="#id-2ad8" id="id-2ad8"></a>
|
|
|
|
<figure><img src="../images/image (1263).png" alt=""><figcaption><p><a href="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obCn7xahDc296JZccXM2qQ.jpeg">https://miro.medium.com/v2/resize:fit:1100/format:webp/1*obCn7xahDc296JZccXM2qQ.jpeg</a></p></figcaption></figure>
|
|
|
|
1. name\[]를 인식하지 않습니다.
|
|
2. 마지막 매개변수를 선호합니다.
|
|
|
|
## JSON Injection
|
|
|
|
### 중복 키
|
|
```ini
|
|
obj = {"test": "user", "test": "admin"}
|
|
```
|
|
프론트엔드는 첫 번째 발생을 믿을 수 있지만 백엔드는 두 번째 발생의 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### 키 충돌: 문자 잘림 및 주석
|
|
|
|
특정 문자는 프론트엔드에서 올바르게 해석되지 않지만 백엔드는 이를 해석하고 해당 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는 **특정 제한을 우회하는 데** 유용할 수 있습니다:
|
|
```json
|
|
{"test": 1, "test\[raw \x0d byte]": 2}
|
|
{"test": 1, "test\ud800": 2}
|
|
{"test": 1, "test"": 2}
|
|
{"test": 1, "te\st": 2}
|
|
```
|
|
이 경우 프론트 엔드는 `test == 1`이라고 생각할 수 있고 백엔드는 `test == 2`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
|
|
|
|
이것은 다음과 같은 값 제한을 우회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:
|
|
```json
|
|
{"role": "administrator\[raw \x0d byte]"}
|
|
{"role":"administrator\ud800"}
|
|
{"role": "administrator""}
|
|
{"role": "admini\strator"}
|
|
```
|
|
### **주석 잘라내기 사용**
|
|
```ini
|
|
obj = {"description": "Duplicate with comments", "test": 2, "extra": /*, "test": 1, "extra2": */}
|
|
```
|
|
여기에서는 각 파서의 직렬 변환기를 사용하여 해당 출력을 볼 것입니다.
|
|
|
|
Serializer 1 (예: GoLang의 GoJay 라이브러리)은 다음을 생성합니다:
|
|
|
|
- `description = "Duplicate with comments"`
|
|
- `test = 2`
|
|
- `extra = ""`
|
|
|
|
Serializer 2 (예: Java의 JSON-iterator 라이브러리)은 다음을 생성합니다:
|
|
|
|
- `description = "Duplicate with comments"`
|
|
- `extra = "/*"`
|
|
- `extra2 = "*/"`
|
|
- `test = 1`
|
|
|
|
또는, 주석을 간단하게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:
|
|
```ini
|
|
obj = {"description": "Comment support", "test": 1, "extra": "a"/*, "test": 2, "extra2": "b"*/}
|
|
```
|
|
Java의 GSON 라이브러리:
|
|
```json
|
|
{ "description": "Comment support", "test": 1, "extra": "a" }
|
|
```
|
|
루비의 simdjson 라이브러리:
|
|
```json
|
|
{ "description": "Comment support", "test": 2, "extra": "a", "extra2": "b" }
|
|
```
|
|
### **일관되지 않은 우선순위: 역직렬화 대 직렬화**
|
|
```ini
|
|
obj = {"test": 1, "test": 2}
|
|
|
|
obj["test"] // 1
|
|
obj.toString() // {"test": 2}
|
|
```
|
|
### Float and Integer
|
|
|
|
숫자
|
|
```undefined
|
|
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
|
|
```
|
|
여러 표현으로 디코딩될 수 있습니다. 다음을 포함하여:
|
|
```undefined
|
|
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9
|
|
9.999999999999999e95
|
|
1E+96
|
|
0
|
|
9223372036854775807
|
|
```
|
|
어떤 것이 불일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
|
|
|
|
## References
|
|
|
|
- [https://medium.com/@shahjerry33/http-parameter-pollution-its-contaminated-85edc0805654](https://medium.com/@shahjerry33/http-parameter-pollution-its-contaminated-85edc0805654)
|
|
- [https://github.com/google/google-ctf/tree/master/2023/web-under-construction/solution](https://github.com/google/google-ctf/tree/master/2023/web-under-construction/solution)
|
|
- [https://medium.com/@0xAwali/http-parameter-pollution-in-2024-32ec1b810f89](https://medium.com/@0xAwali/http-parameter-pollution-in-2024-32ec1b810f89)
|
|
- [https://bishopfox.com/blog/json-interoperability-vulnerabilities](https://bishopfox.com/blog/json-interoperability-vulnerabilities)
|
|
|
|
|
|
{{#include 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