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HackTricks-wiki/hacktricks.git
synced 2025-10-10 18:36:50 +00:00
Translated ['src/todo/radio-hacking/maxiprox-mobile-cloner.md', 'src/tod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6f6cfb60e9
commit
5f6ba3e584
@ -887,6 +887,7 @@
|
||||
- [Industrial Control Systems Hacking](todo/industrial-control-systems-hacking/README.md)
|
||||
- [Modbus Protocol](todo/industrial-control-systems-hacking/modbus.md)
|
||||
- [Radio Hacking](todo/radio-hacking/README.md)
|
||||
- [Maxiprox Mobile Cloner](todo/radio-hacking/maxiprox-mobile-cloner.md)
|
||||
- [Pentesting RFID](todo/radio-hacking/pentesting-rfid.md)
|
||||
- [Infrared](todo/radio-hacking/infrared.md)
|
||||
- [Sub-GHz RF](todo/radio-hacking/sub-ghz-rf.md)
|
||||
|
84
src/todo/radio-hacking/maxiprox-mobile-cloner.md
Normal file
84
src/todo/radio-hacking/maxiprox-mobile-cloner.md
Normal file
@ -0,0 +1,84 @@
|
||||
# 휴대용 HID MaxiProx 125 kHz 모바일 클로너 만들기
|
||||
|
||||
{{#include 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|
||||
|
||||
## 목표
|
||||
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된 HID MaxiProx 5375 장거리 125 kHz 리더를 현장 배포 가능한 배터리 구동 배지 클로너로 변환하여 물리적 보안 평가 중에 근접 카드를 조용히 수집합니다.
|
||||
|
||||
여기서 다루는 변환은 TrustedSec의 “Let’s Clone a Cloner – Part 3: Putting It All Together” 연구 시리즈를 기반으로 하며, 최종 장치가 배낭에 넣어 즉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계적, 전기적 및 RF 고려 사항을 결합합니다.
|
||||
|
||||
> [!warning]
|
||||
>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된 장비와 리튬 이온 전원 은행을 조작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**전에** 모든 연결을 확인하고 리더의 조정이 해제되지 않도록 안테나, 동축 및 접지 평면을 공장 설계와 정확히 동일하게 유지하십시오.
|
||||
|
||||
## 자재 목록 (BOM)
|
||||
|
||||
* HID MaxiProx 5375 리더 (또는 12 V HID Prox® 장거리 리더)
|
||||
* ESP RFID Tool v2.2 (ESP32 기반 Wiegand 스니퍼/로거)
|
||||
* 12 V @ ≥3 A를 협상할 수 있는 USB-PD (Power-Delivery) 트리거 모듈
|
||||
* 100 W USB-C 전원 은행 (12 V PD 프로파일 출력)
|
||||
* 26 AWG 실리콘 절연 연결선 – 빨강/흰색
|
||||
* 패널 장착 SPST 토글 스위치 (비퍼 킬 스위치용)
|
||||
* NKK AT4072 스위치 가드 / 사고 방지 캡
|
||||
* 인두, 납 흡입기 및 납 흡입 펌프
|
||||
* ABS 등급의 수공구: 조각톱, 유틸리티 나이프, 평면 및 반원형 파일
|
||||
* 드릴 비트 1/16″ (1.5 mm) 및 1/8″ (3 mm)
|
||||
* 3 M VHB 양면 테이프 및 지퍼 타이
|
||||
|
||||
## 1. 전원 하위 시스템
|
||||
|
||||
1. 로직 PCB에 5 V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공장 버크 컨버터 자매 보드를 탈착하고 제거합니다.
|
||||
2. ESP RFID Tool 옆에 USB-PD 트리거를 장착하고 트리거의 USB-C 수신기를 인클로저 외부로 라우팅합니다.
|
||||
3. PD 트리거는 전원 은행에서 12 V를 협상하고 이를 MaxiProx에 직접 공급합니다 (리더는 본래 10–14 V를 기대합니다). ESP 보드에서 5 V 레일을 가져와 모든 액세서리를 전원 공급합니다.
|
||||
4. 100 W 배터리 팩은 내부 스탠드오프에 평평하게 위치하여 **전혀** 전원 케이블이 페라이트 안테나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RF 성능을 유지합니다.
|
||||
|
||||
## 2. 비퍼 킬 스위치 – 무음 작동
|
||||
|
||||
1. MaxiProx 로직 보드에서 두 개의 스피커 패드를 찾습니다.
|
||||
2. *두* 패드를 깨끗이 청소한 후 **음성** 패드만 다시 납땜합니다.
|
||||
3. 비퍼 패드에 26 AWG 전선을 납땜하고 새로 자른 슬롯을 통해 패널 장착 SPST 스위치로 라우팅합니다.
|
||||
4. 스위치가 열리면 비퍼 회로가 끊어지고 리더가 완전한 침묵 속에서 작동합니다 – 비밀 배지 수집에 이상적입니다.
|
||||
5. 토글 위에 NKK AT4072 스프링 장착 안전 캡을 장착합니다. 조심스럽게 조각톱/파일로 구멍을 확대하여 스위치 본체에 걸리도록 합니다. 가드는 배낭 안에서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합니다.
|
||||
|
||||
## 3. 인클로저 및 기계 작업
|
||||
|
||||
• 플러시 커터를 사용한 후 나이프 및 파일로 내부 ABS “돌출부”를 *제거*하여 큰 USB-C 배터리가 스탠드오프에 평평하게 놓이도록 합니다.
|
||||
• USB-C 케이블을 위한 두 개의 평행 채널을 인클로저 벽에 조각합니다; 이는 배터리를 제자리에 고정하고 움직임/진동을 없앱니다.
|
||||
• 배터리의 **전원** 버튼을 위한 직사각형 구멍을 만듭니다:
|
||||
1. 위치 위에 종이 스텐실을 테이프로 붙입니다.
|
||||
2. 네 모서리에 1/16″ 파일럿 홀을 드릴합니다.
|
||||
3. 1/8″ 비트로 확대합니다.
|
||||
4. 조각톱으로 구멍을 연결하고 파일로 가장자리를 마무리합니다.
|
||||
✱ 로터리 드레멜은 *피하는 것이 좋습니다* – 고속 비트가 두꺼운 ABS를 녹여서 보기 흉한 가장자리를 남깁니다.
|
||||
|
||||
## 4. 최종 조립
|
||||
|
||||
1. MaxiProx 로직 보드를 재설치하고 SMA 피그테일을 리더의 PCB 접지 패드에 다시 납땜합니다.
|
||||
2. ESP RFID Tool 및 USB-PD 트리거를 3 M VHB를 사용하여 장착합니다.
|
||||
3. 모든 배선을 지퍼 타이로 정리하여 전원 리드를 **안테나 루프**에서 멀리 유지합니다.
|
||||
4. 인클로저 나사를 조여 배터리가 가볍게 압축되도록 합니다; 내부 마찰이 장치가 카드 판독 후 반동할 때 팩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합니다.
|
||||
|
||||
## 5. 범위 및 차폐 테스트
|
||||
|
||||
* 125 kHz **Pupa** 테스트 카드를 사용하여 휴대용 클로너는 자유 공기에서 **≈ 8 cm**에서 일관된 판독을 달성했습니다 –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된 작동과 동일합니다.
|
||||
* 리더를 얇은 금속 현금 상자 안에 배치 (은행 로비 책상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) 하여 범위를 ≤ 2 cm로 줄였으며, 상당한 금속 인클로저가 효과적인 RF 차폐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
|
||||
|
||||
## 사용 워크플로우
|
||||
|
||||
1. USB-C 배터리를 충전하고 연결한 후 메인 전원 스위치를 켭니다.
|
||||
2. (선택 사항) 비퍼 가드를 열고 벤치 테스트 시 가청 피드백을 활성화합니다; 비밀 현장 사용 전에 잠급니다.
|
||||
3. 목표 배지 소지자를 지나갑니다 – MaxiProx가 카드를 활성화하고 ESP RFID Tool이 Wiegand 스트림을 캡처합니다.
|
||||
4. 캡처된 자격 증명을 Wi-Fi 또는 USB-UART를 통해 덤프하고 필요에 따라 재생/클론합니다.
|
||||
|
||||
## 문제 해결
|
||||
|
||||
| 증상 | 가능한 원인 | 수정 |
|
||||
|---------|--------------|------|
|
||||
| 카드가 제시될 때 리더가 재부팅됨 | PD 트리거가 12 V가 아닌 9 V를 협상함 | 트리거 점퍼를 확인하거나 더 높은 전력 USB-C 케이블을 사용해 보십시오 |
|
||||
| 판독 범위 없음 | 배터리 또는 배선이 안테나 위에 *놓여 있음* | 케이블을 재배치하고 페라이트 루프 주위에 2 cm 간격을 유지하십시오 |
|
||||
| 비퍼가 여전히 울림 | 스위치가 음성 리드 대신 양성 리드에 연결됨 | 킬 스위치를 이동하여 **음성** 스피커 트레이스를 끊습니다 |
|
||||
|
||||
## 참고 문헌
|
||||
|
||||
- [Let’s Clone a Cloner – Part 3 (TrustedSec)](https://trustedsec.com/blog/lets-clone-a-cloner-part-3-putting-it-all-together)
|
||||
|
||||
{{#include 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|
@ -6,14 +6,14 @@
|
||||
|
||||
**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(RFID)**는 가장 인기 있는 단거리 무선 솔루션입니다. 일반적으로 엔티티를 식별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.
|
||||
|
||||
RFID 태그는 **자체 전원 공급 장치(능동형)**에 의존할 수 있으며, 내장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 장치가 있거나 수신된 전파에서 유도된 전류를 사용하여 판독 안테나로부터 전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(**수동형**).
|
||||
RFID 태그는 **자체 전원 공급 장치(능동형)**에 의존할 수 있으며, 내장 배터리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거나 수신된 전파에서 유도된 전류를 사용하여 판독 안테나로부터 전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(**수동형**).
|
||||
|
||||
### Classes
|
||||
|
||||
EPCglobal은 RFID 태그를 여섯 가지 범주로 나눕니다. 각 범주의 태그는 이전 범주에 나열된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어 하위 호환성이 있습니다.
|
||||
|
||||
- **Class 0** 태그는 **수동형** 태그로 **UHF** 대역에서 작동합니다. 공급업체가 생산 공장에서 미리 프로그래밍합니다. 결과적으로, 이들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**변경할 수 없습니다**.
|
||||
- **Class 1** 태그는 **HF** 대역에서도 작동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생산 후 **한 번만 기록**할 수 있습니다. 많은 Class 1 태그는 수신한 명령의 **순환 중복 검사**(CRC)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 CRC는 오류 감지를 위한 명령 끝에 있는 몇 바이트의 추가 데이터입니다.
|
||||
- **Class 0** 태그는 **수동형** 태그로 **UHF** 대역에서 작동합니다. 공급업체가 생산 공장에서 **미리 프로그래밍**합니다. 결과적으로, 이들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**변경할 수 없습니다**.
|
||||
- **Class 1** 태그는 **HF** 대역에서도 작동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생산 후 **한 번만 기록**할 수 있습니다. 많은 Class 1 태그는 수신하는 명령의 **순환 중복 검사**(CRC)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 CRC는 오류 감지를 위한 명령 끝에 있는 몇 바이트의 추가 데이터입니다.
|
||||
- **Class 2** 태그는 **여러 번 기록**할 수 있습니다.
|
||||
- **Class 3** 태그는 현재 온도나 태그의 움직임과 같은 환경 매개변수를 기록할 수 있는 **내장 센서**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태그는 **반수동형**으로, 내장 전원 공급 장치(예: 통합 **배터리**)가 있지만 다른 태그나 판독기와 무선 **통신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**.
|
||||
- **Class 4** 태그는 동일한 클래스의 다른 태그와 통신을 시작할 수 있어 **능동형 태그**입니다.
|
||||
@ -21,9 +21,9 @@ EPCglobal은 RFID 태그를 여섯 가지 범주로 나눕니다. 각 범주의
|
||||
|
||||
### Information Stored in RFID Tags
|
||||
|
||||
RFID 태그의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합니다: **식별 데이터**, 태그가 부착된 **엔티티**를 **식별하는** 데이터(이 데이터에는 은행 계좌와 같은 사용자 정의 필드가 포함됨); **보조 데이터**, 엔티티에 대한 **추가** **세부정보**를 제공하는 데이터; 태그의 내부 **구성**에 사용되는 **제어 데이터**; 그리고 태그의 **제조업체 데이터**, 태그의 고유 식별자(**UID**)와 태그의 **생산**, **유형**, 및 **공급업체**에 대한 세부정보를 포함합니다. 상업용 태그에서는 첫 번째 두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찾을 수 있으며, 마지막 두 가지는 태그의 공급업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|
||||
RFID 태그의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네 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합니다: **식별 데이터**, 이는 태그가 부착된 **엔티티**를 **식별**합니다(이 데이터에는 사용자 정의 필드, 예를 들어 은행 계좌가 포함됨); **보조 데이터**, 이는 엔티티에 대한 **추가** **세부정보**를 제공합니다; **제어 데이터**, 태그의 내부 **구성**에 사용됩니다; 그리고 태그의 **제조업체 데이터**, 이는 태그의 고유 식별자(**UID**)와 태그의 **생산**, **유형**, 및 **공급업체**에 대한 세부정보를 포함합니다. 상업용 태그에서는 첫 번째 두 가지 데이터 유형을 찾을 수 있으며, 마지막 두 가지는 태그의 공급업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|
||||
|
||||
ISO 표준은 태그가 속한 **객체의 종류**를 나타내는 코드인 응용 프로그램 가족 식별자(**AFI**) 값을 지정합니다. ISO에서 지정한 또 다른 중요한 레지스터는 사용자 데이터의 **논리적 조직**을 정의하는 데이터 저장 형식 식별자(**DSFID**)입니다.
|
||||
ISO 표준은 태그가 속한 **객체의 종류**를 나타내는 코드인 응용 프로그램 가족 식별자(**AFI**) 값을 지정합니다. ISO에서 지정한 또 다른 중요한 레지스터는 데이터 저장 형식 식별자(**DSFID**)로, 이는 **사용자 데이터의 논리적 조직**을 정의합니다.
|
||||
|
||||
대부분의 RFID **보안 제어**는 각 사용자 메모리 블록 및 AFI와 DSFID 값을 포함하는 특수 레지스터에 대한 **읽기** 또는 **쓰기** 작업을 **제한**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**잠금** **메커니즘**은 제어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며 공급업체에 의해 미리 구성된 **기본 비밀번호**를 가지고 있지만 태그 소유자가 **사용자 정의 비밀번호**를 구성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.
|
||||
|
||||
@ -33,13 +33,13 @@ ISO 표준은 태그가 속한 **객체의 종류**를 나타내는 코드인
|
||||
|
||||
## Low-Frequency RFID Tags (125kHz)
|
||||
|
||||
**저주파 태그**는 **높은 보안이 필요하지 않은**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: 건물 출입, 인터콤 키, 체육관 회원 카드 등. 더 높은 범위 덕분에 유료 주차에 사용하기 편리합니다: 운전자는 카드를 판독기에 가까이 가져갈 필요가 없으며, 더 멀리서도 작동합니다. 동시에 저주파 태그는 매우 원시적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잔액 유지 및 암호화와 같은 복잡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없습니다. 저주파 태그는 인증 수단 없이 짧은 ID만 전송합니다.
|
||||
**저주파 태그**는 종종 **높은 보안이 필요하지 않은**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: 건물 출입, 인터콤 키, 체육관 회원 카드 등. 더 긴 범위 덕분에 유료 주차에 사용하기 편리합니다: 운전자는 카드를 판독기에 가까이 가져갈 필요가 없으며, 더 멀리서도 작동합니다. 동시에 저주파 태그는 매우 원시적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습니다. 이러한 이유로 잔액 유지 및 암호화와 같은 복잡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없습니다. 저주파 태그는 인증 수단 없이 짧은 ID만 전송합니다.
|
||||
|
||||
이 장치는 **수동형** **RFID** 기술에 의존하며 **30 kHz에서 300 kHz** 범위에서 작동하지만, 일반적으로 125 kHz에서 134 kHz를 사용합니다:
|
||||
|
||||
- **긴 범위** — 낮은 주파수는 더 높은 범위로 이어집니다. EM-Marin 및 HID 판독기가 있으며, 최대 1미터 거리에서 작동합니다. 이러한 태그는 주차장에서 자주 사용됩니다.
|
||||
- **긴 범위** — 낮은 주파수는 더 긴 범위로 이어집니다. EM-Marin 및 HID 판독기가 있으며, 최대 1미터 거리에서 작동합니다. 이러한 태그는 종종 주차장에서 사용됩니다.
|
||||
- **원시 프로토콜** —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로 인해 이러한 태그는 짧은 ID만 전송할 수 있습니다.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는 인증되지 않으며 어떤 방식으로도 보호되지 않습니다. 카드가 판독기의 범위에 들어가면 ID를 전송하기 시작합니다.
|
||||
- **낮은 보안** — 이러한 카드는 쉽게 복사되거나 심지어 다른 사람의 주머니에서 읽힐 수 있습니다.
|
||||
- **낮은 보안** — 이러한 카드는 쉽게 복사되거나, 프로토콜의 원시성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주머니에서 읽힐 수 있습니다.
|
||||
|
||||
**인기 있는 125 kHz 프로토콜:**
|
||||
|
||||
@ -47,7 +47,7 @@ ISO 표준은 태그가 속한 **객체의 종류**를 나타내는 코드인
|
||||
- **HID Prox II** — HID Global에서 도입한 저주파 프로토콜입니다. 이 프로토콜은 서구 국가에서 더 인기가 있습니다. 더 복잡하며 이 프로토콜에 대한 카드와 판독기는 상대적으로 비쌉니다.
|
||||
- **Indala** — Motorola에서 도입한 매우 오래된 저주파 프로토콜로, 이후 HID에 인수되었습니다. 이전 두 프로토콜에 비해 사용 빈도가 낮습니다.
|
||||
|
||||
실제로 저주파 프로토콜은 훨씬 더 많습니다. 그러나 이들은 모두 물리적 계층에서 동일한 변조를 사용하며, 나열된 프로토콜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|
||||
실제로는 더 많은 저주파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. 그러나 이들은 모두 물리적 계층에서 동일한 변조를 사용하며, 나열된 프로토콜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|
||||
|
||||
### Attack
|
||||
|
||||
@ -62,20 +62,20 @@ flipper-zero/fz-125khz-rfid.md
|
||||
**고주파 태그**는 암호화, 대규모 양방향 데이터 전송, 인증 등이 필요할 때 더 복잡한 판독기-태그 상호작용에 사용됩니다.\
|
||||
일반적으로 은행 카드, 대중 교통 및 기타 보안 패스에서 발견됩니다.
|
||||
|
||||
**고주파 13.56 MHz 태그는 일련의 표준 및 프로토콜**입니다. 일반적으로 [NFC](https://nfc-forum.org/what-is-nfc/about-the-technology/)라고 불리지만,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. 물리적 및 논리적 수준에서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 세트는 ISO 14443입니다. 고급 프로토콜과 대체 표준(예: ISO 19092)은 이를 기반으로 합니다. 많은 사람들이 이 기술을 **근거리 통신(NFC)**이라고 부르며, 이는 13.56 MHz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장치를 위한 용어입니다.
|
||||
**고주파 13.56 MHz 태그는 일련의 표준 및 프로토콜**입니다. 일반적으로 [NFC](https://nfc-forum.org/what-is-nfc/about-the-technology/)라고 불리지만,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. 물리적 및 논리적 수준에서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 세트는 ISO 14443입니다. 고급 프로토콜과 대체 표준(예: ISO 19092)은 이를 기반으로 합니다. 많은 사람들이 이 기술을 **근거리 통신(NFC)**이라고 부르며, 이는 13.56 MHz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장치에 대한 용어입니다.
|
||||
|
||||
<figure><img src="../../images/image (930).png" alt=""><figcaption></figcaption></figure>
|
||||
|
||||
간단히 말해, NFC의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: 전송 프로토콜은 카드를 만드는 회사에 의해 선택되며 저수준 ISO 14443를 기반으로 구현됩니다. 예를 들어, NXP는 Mifare라는 고급 전송 프로토콜을 발명했습니다. 그러나 낮은 수준에서 Mifare 카드는 ISO 14443-A 표준을 기반으로 합니다.
|
||||
간단히 말해, NFC의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: 전송 프로토콜은 카드를 만드는 회사에 의해 선택되며, 저수준 ISO 14443를 기반으로 구현됩니다. 예를 들어, NXP는 Mifare라는 자체 고급 전송 프로토콜을 발명했습니다. 그러나 저수준에서 Mifare 카드는 ISO 14443-A 표준을 기반으로 합니다.
|
||||
|
||||
Flipper는 저수준 ISO 14443 프로토콜과 Mifare Ultralight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은행 카드에서 사용되는 EMV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. Mifare Classic 및 NFC NDEF에 대한 지원 추가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. NFC를 구성하는 프로토콜 및 표준에 대한 철저한 검토는 별도의 기사로 다룰 가치가 있으며, 나중에 게시할 계획입니다.
|
||||
|
||||
ISO 14443-A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고주파 카드는 고유한 칩 ID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는 카드의 일련 번호로 작용하며, 네트워크 카드의 MAC 주소와 유사합니다. **일반적으로 UID는 4 또는 7 바이트 길이**이지만, 드물게 **10 바이트**까지 갈 수 있습니다. UID는 비밀이 아니며 쉽게 읽을 수 있으며, **때때로 카드 자체에 인쇄되어 있습니다**.
|
||||
ISO 14443-A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고주파 카드는 고유한 칩 ID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는 카드의 일련 번호로 작용하며, 네트워크 카드의 MAC 주소와 유사합니다. **일반적으로 UID는 4 또는 7 바이트 길이**이지만, 드물게 **10 바이트까지** 갈 수 있습니다. UID는 비밀이 아니며 쉽게 읽을 수 있으며, **때때로 카드 자체에 인쇄되어 있습니다**.
|
||||
|
||||
UID에 의존하여 **인증 및 접근 권한 부여**를 수행하는 많은 출입 통제 시스템이 있습니다. 때때로 RFID 태그가 **암호화를 지원**할 때도 **이런 오용**이 발생합니다. 이러한 오용은 보안 측면에서 **125 kHz 카드** 수준으로 떨어뜨립니다. 가상 카드(예: Apple Pay)는 동적 UID를 사용하여 전화 소유자가 결제 앱으로 문을 열지 않도록 합니다.
|
||||
UID에 의존하여 **인증 및 접근 권한 부여**를 수행하는 많은 출입 통제 시스템이 있습니다. 때때로 RFID 태그가 **암호화를 지원**할 때도 이러한 일이 발생합니다. 이러한 **오용**은 보안 측면에서 **125 kHz 카드** 수준으로 떨어뜨립니다. 가상 카드(예: Apple Pay)는 동적 UID를 사용하여 전화 소유자가 결제 앱으로 문을 열지 않도록 합니다.
|
||||
|
||||
- **짧은 범위** — 고주파 카드는 판독기에 가까이 배치되어야 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. 이는 카드가 무단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. 우리가 달성한 최대 읽기 범위는 약 15cm였으며, 이는 맞춤형 고범위 판독기를 사용했을 때입니다.
|
||||
- **고급 프로토콜** —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424 kbps로 복잡한 프로토콜을 허용하며, 완전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. 이는 **암호화**, 데이터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합니다.
|
||||
- **짧은 범위** — 고주파 카드는 판독기에 가까이 배치되어야 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습니다. 이는 카드가 무단 상호작용으로부터 보호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. 우리가 달성한 최대 읽기 범위는 약 15cm였으며, 이는 맞춤형 고범위 판독기를 사용했을 때의 결과입니다.
|
||||
- **고급 프로토콜** — 데이터 전송 속도가 424 kbps에 이르며, 완전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복잡한 프로토콜을 허용합니다. 이는 **암호화**, 데이터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합니다.
|
||||
- **높은 보안** — 고주파 비접촉 카드가 스마트 카드에 비해 열등하지 않습니다. AES와 같은 암호적으로 강력한 알고리즘을 지원하고 비대칭 암호화를 구현하는 카드도 있습니다.
|
||||
|
||||
### Attack
|
||||
@ -92,8 +92,19 @@ Or using the **proxmark**:
|
||||
proxmark-3.md
|
||||
{{#endref}}
|
||||
|
||||
### Building a Portable HID MaxiProx 125 kHz Mobile Cloner
|
||||
|
||||
If you need a **long-range**, **battery-powered** solution for harvesting HID Prox® badges during red-team engagements you can convert the wall-mounted **HID MaxiProx 5375** reader into a self-contained cloner that fits in a backpack. The full mechanical and electrical walk-through is available here:
|
||||
|
||||
{{#ref}}
|
||||
maxiprox-mobile-cloner.md
|
||||
{{#endref}}
|
||||
|
||||
---
|
||||
|
||||
## References
|
||||
|
||||
- [https://blog.flipperzero.one/rfid/](https://blog.flipperzero.one/rfid/)
|
||||
- [Let's Clone a Cloner – Part 3 (TrustedSec)](https://trustedsec.com/blog/lets-clone-a-cloner-part-3-putting-it-all-together)
|
||||
|
||||
{{#include ../../banners/hacktricks-training.md}}
|
||||
|
Loading…
x
Reference in New Issue
Block a us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